기독교 Christianity15 기독교 농촌 운동 - YMCA YWCA 기독교 농촌 운동 - YMCA YWCA 3.1 운동 이후 한국 농촌의 경제 구조는 급격히 변화되었습니다. 일제의 민족경제수탈로 인해 한국 농촌은 황폐해질 대로 황폐해졌습니다. 그 결과 1930년대엔 자기 땅을 가지고 있는 지주가 20% 정도밖에 되지 않고 자기 땅 없이 농사를 짓는 소작농이 80%였습니다. 이러한 소작농들의 경제형편은 심각했습니다. 이에 YMCA와 YWCA 등 기독교 청년. 학생단체와 감리교. 장로교 등 교회조직은 기독교 나름의 타개책을 모색하고 농촌운동을 전개하였습니다. YMCA와 YWCA에서 전개한 기독교 농촌 운동을 소개하고 그 의의를 살펴보겠습니다. 1 YMCA의 농촌운동 YMCA의 농촌운동은 1923년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신흥우는 1920년부터 YMCA 총무로 봉직하며 서울 근교.. 2023. 5. 22. 해외 이민과 한인 교회의 시작 - 미국과 멕시코 해외 이민과 한인 교회의 시작 - 미국과 멕시코 해외 한인교회는 구한말부터 민족운동의 주요 거점이 되었고 3.1 운동의 모의, 전개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3.1 운동 후에도 계속해서 항일독립운동의 거점으로서의 역할을 감당했습니다. 비슷한 시기에 전개되었으나 그 양상이 사뭇 달랐던 미국과 멕시코에서의 해외 이민과 한인 교회의 시작 과정을 알아보겠습니다. 1 미국 하와이 농업이민 1902년 하와이 농업이민으로 시작된 한국인의 미국 이주는 교회가 배경이 되어 추진되었습니다. 하와이 농업이민을 정치적으로 중개한 사람이 북장로회 선교사였다가 주한 미국 공사로 신분이 바뀐 알렌(H. N. Allen)이었습니다. 그리고 이민 모집을 주관했던 동서개발공사의 데슐러(D. Deshler)를 도와 이민을 장려하.. 2023. 5. 20. 3.1 운동과 기독교 3.1 운동과 기독교 3.1 운동은 1919년 3월 1일 민족대표 33인의 이름으로 독립선언서가 발표된 이후 전국적으로, 또 한인사회를 중심으로 한 세계각지로 확대되어 거의 1년간 지속된 거국적이고도 자발적인 항일민족독립운동입니다. 기독교인들이 계획 준비 단계부터 이 운동에 적극 참여함으로 교회도 온갖 수난을 당하였습니다. 3.1 운동의 배경과 전개, 3.1 운동과 기독교의 관계, 3.1 운동이 기독교에 미친 영향 및 결과를 알아보겠습니다. ¡ 3.1 운동의 배경과 전개 1910년 8월 29일 한일합병조약을 통해 대한제국을 일본제국에 강제 합병한 일제는 총독부와 헌병경찰제를 통해 무단통치를 이어갔습니다. 정치적 탄압으로 어떠한 집회나 단체운동도 할 수 없었으며 경제적 착취로 농민들은 농토를 잃고 빈궁한 .. 2023. 5. 17. 기독교 항일 무장투쟁 - 장인환 안중근 이재명 기독교 항일 무장투쟁 - 장인환 안중근 이재명 한국교회가 성립하고 발전되는 과정은 개항 이후 일제의 식민지로 전락해 가는 시기와 같았습니다. 따라서 한국 기독교는 일제의 침략에 대항하는 민족종교로서 항일 무장투쟁을 전개했습니다. 1910년대 무장 항일투쟁 운동을 전개했던 3명의 기독교인 장인환, 안중근, 이재명의 사건을 소개합니다. 1 장인환의 스티븐스 저격사건 항일 무장투쟁운동에 가담했던 기독교인은 대체로 정치, 사회적으로 민감한 서울과 서북계 출신 그리고 해외에 망명 중이던 신지식인 계층이 중심을 이루었습니다. 대표적 인물은 안중근, 이재명, 장인환, 안명근, 이동휘 등을 꼽을 수 있습니다. 이때의 기독교 항일투쟁은 대규모의 조직적 무장투쟁은 아니었으며 테러, 암살 등 게릴라적 활동이었습니다. 첫 번.. 2023. 5. 15. 신민회와 105인 사건 신민회와 105인 사건 신민회(新民會)는 개항과 일제의 국권 침탈이라는 역사적 소용돌이에서 기독교 민족 운동을 전개한 단체로 일제의 한국 기독인 탄압의 큰 사건인 105인 사건의 배경이 되는 단체입니다. 신민회 조직의 배경과 활동 그리고 105인 사건과 의의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1 신민회 조직의 배경 개항과 같은 시기에 수용된 한국의 기독교는 반봉건과 반외세라는 역사적 과제를 떠안고 있었습니다. 이 시기는 자본주의 국가들이 치열한 대외 팽창과 세계분할 경쟁에 나섰던 제국주의 시대에 해당되며 뒤늦게 참여한 일본의 대륙침략이 노골화되는 시기였습니다. 아시아 국가들에 전파된 기독교는 거의 예외 없이 제국주의 침략의 도구로 이용되었는데 유독 한국만은 비기독교 국가인 일본의 식민지가 되었습니다. 이점에서 한.. 2023. 5. 13. 1907년 대부흥운동 - 한국의 오순절 1907년 대부흥운동 - 한국의 오순절 대부흥운동은 1907년 1월 평양에서 시작되어 전국적으로 파급된 신앙운동으로 '한국의 오순절'이라고도 불립니다. 이 대부흥운동은 1907년 1월 6일부터 10여 일간 평양 장대현(章臺峴) 교회에서 있었던 사경회 기간 중 절정에 달하였습니다. 대부흥운동의 발단과 전개 과정 및 결과와 평가를 살펴보겠습니다. 1 대부흥운동의 발단 1907년 장대현교회에서 있었던 사경회 기간 중 절정에 달한 대부흥운동은 1903년 원산에서 열린 기도회가 도화선이 되었습니다. 원산지역에서 활동하던 감리교선교사들이 중국에서 선교활동을 하던 화이트(M. C. White) 선교사의 방문을 계기로 기도회를 열었는데 이 모임은 곧 장로교 선교사들과 일부 한국 교인들, 그리고 침례교 인사들까지 참석한.. 2023. 5. 11. 초기 한국 기독교와 수구세력의 갈등 초기 한국 기독교와 수구세력의 갈등 CONTENTS 영아소동 사건 평양 기독교인 박해 사건 장대현교회의 시작 박해의 결과 초기 한국 선교가 의료, 교육 사업을 내세워 순조롭게 진행되는 것 같았으나 순조로운 면만 있었던 것은 아니었습니다. 선교사가 운영하는 병원과 학교를 통해 기독교에 대한 마음이 많이 열리고 긍정적으로 변화되기는 했으나 보수, 수구세력들의 기독교에 대한 거부와 탄압도 만만치 않았습니다. 기독교는 종교뿐만 아니라 사회, 문화, 정치, 경제 등 전반적인 영역에 영향을 미쳤고 이로 인해 근대화가 급속히 진행되었습니다. 이에 위기를 느낀 수구세력과 갈등을 빚게 되었는데 1888년의 영아소동 사건과 1894년의 평양기독교인 박해 사건이 그 대표적인 예입니다. 1 영아소동 사건 영아소동 사건은 18.. 2023. 5. 9. 초기 한국 문서 선교 - 성경 번역과 찬송가 편찬 초기 한국 문서 선교 - 성경 번역과 찬송가 편찬 CONTENTS 성경 번역 사역 찬송가 편찬 결론 한국의 개신교 유입 과정에서 특이한 사항은 선교사들이 한국에 들어오기 전에 이미 우리말 성경이 번역되어 발행되었다는 것입니다. 그중에서 상당 수가 국내에 들어와서 읽혔고 그 결과 많은 수의 구도자들이 생기게 되었습니다. 그러니까 한국 개신교는 성경을 번역하고 발행하는 일, 그리고 그것을 전파하는 사업과 함께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초기에 들어온 선교사들은 의료 및 교육 선교와 함께 문서 선교도 활발히 진행했습니다. 1 성경 번역 사역 초기 한국의 기독교는 선교사들의 의료 및 교육 선교와 함께 이미 있던 우리말 성경을 더욱 발전시킨 문서 선교에도 활발한 양상을 보였습니다. 한국에 들어온 선교사들은 성.. 2023. 5. 7. 이전 1 2 다음